80
1 스킨 케어
비건 콜라겐을 향상시키는 리포솜의 힘
샘 도넬리(Sam Donnelly) - JLand Biotech
리포솜은 1960년대, 전자 현미경 검사를 위해 물 속에 인지질을 확산시켰던 인물인 알렉 뱅엄(Alec
Bangham)1이 최초로 발견하였다. 그레고리아디스 외
(Gregoriadis et al.)(1976)2는 리포솜의 고유 구조와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고려하여 약물을 캡슐화하는
운반체로써 그 쓰임새를 연구했다. 연구 결과 리포솜 캡슐화에서 여러 가지 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리포솜으로 운반한 약물의 분포는 리포솜이 없는 경우와 다르게 나타났으며, 리포솜이 혈류의 반감기를 연장하고, 약물의 독성과 부작용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약물의 용해도도 변했다. 몇 년의 연구 끝에 다양한 지질 및 지질 혼합물을
활용하여 리포솜을 준비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리포솜 형성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지질 유형인 인지질은
리포솜의 특성과 행동 양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리포솜은 작은 크기, 소량의 용량, 강한 안정성, 높은
표적화, 통제 가능한 서방형 제재, 안전성 및 무독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된다. 화장품 분야에서 리포솜을 최초로 사용한 사례는 1986년 디올에서였으며, 이를 계기로 현재는 다양한 화장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콜라겐 콜라겐은 피부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필수 구조 단백질이며, 피부 탄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콜라겐의 생성은 오염, 흡연, 사춘기, 자외선 노출, 무엇보다도 노화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3 콜라겐은 노화와 상관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화장품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유효 성분이기도 하다.
PERSONAL CARE July 2022 July 2022
콜라겐은 다양한 경로로 얻을 수 있다. 가장 흔하게는
동물로부터 얻을 수 있으나4 식물에서 추출한 콜라겐이나 효모와 박테리아를 활용한 재조합 생산 기술 또는 콜라겐의 특성을 모방한 인공 폴리머의 형태로도
접할 수 있다. 가장 대중적인 경로인 동물 추출 콜라겐은 냄새,
변색, 알레르기 항원성, 지속가능성, 비건 승인을 받은 제품을 지향하는 시장 트렌드로 인해 점점 인기를 잃어
가고 있지만, 다른 방식으로 콜라겐을 공급받음으로써 이와 같은 단점을 피할 수 있다.
JLand Biotech는 피키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효모를 활용한 발효 기법을 개발하여 동물성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재조합 인간 콜라겐(RHC)을 제작한다. 그 결과로 탄생한 콜라겐은 무색무취의 물질로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고, 지속가능하며, 비건 제품으로 등록되었다.
RHC는 제3형 인간 콜라겐의 구조를 모방하도록
설계되었다. 제3형 콜라겐은 젊은 세대에서 더 많이 발견되며, 노화된 피부에서는 제3형 대비 제1형 콜라겐의 비율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탄력 및 수분과 같은 노화의
징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된다.
피부 침투 자유로운 RHC 및 리포솜으로 캡슐화된 RHC의 침투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피부 침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성형수술을 한 대상자로부터 연구를 위한 인간의
기관형 피부 외식편 배양 조직을 확보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기온이 35˚C ± 1˚C로 통제되는 세포 배양기에 피부를 준비했다.
초록
JLand Biotech의 Biollagen SSE- Lipo는 JLand 고유의 비건 콜라겐인
BiollagenTM(INCI: sh-polypeptide-123) 과 리포솜 캡슐화 기술을 결합하여 피부 침투와
노화 방지 효능을 향상시킨다. 리포솜 캡슐화는 피부에 침투하는 Biollagen의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리포솜은 피부 내에 들어간 이후 Biollagen을 방출하여 피부 고유의 콜라겐을 향상시키고 노화의 징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Biollagen 제작을 위한 고유의 발효 기술은 놀라운 노화 방지 효능 외에도
지속가능하며 동물성 제품이 전혀 없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현재의 화장품 시장의 흐름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비건 콜라겐을 생산한다.
자유로운 RHC는 완전한 정수로 희석하여
리포솜으로 캡슐화된 RHC와 마찬가지로 3% 농도의 용액을 제작하였다. 100µl/cm2의 피부 배양 조직에 콜라겐 용액을 추가하였으며, 7시간 후 배양기에서 피부를 분리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용액에 노출된 피부층을 분리한 다음 메탄올과 물을 50:50으로 섞은 용액에 샘플을 담가 각 층에서 콜라겐을 추출하고,
30분간 이를 초음파 처리했다. 이후 피부층에 존재하는 콜라겐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활용하여 정량화한 결과, 리포솜으로 캡슐화한
RHC를 사용한 경우 피부에서 RHC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그림 1). 리포솜으로 캡슐화한 RHC는 자유로운 RHC와 비교하여 피부의 다양한 층에서 더 높은 RHC
www.personalcaremagazine.com
Page 1 |
Page 2 |
Page 3 |
Page 4 |
Page 5 |
Page 6 |
Page 7 |
Page 8 |
Page 9 |
Page 10 |
Page 11 |
Page 12 |
Page 13 |
Page 14 |
Page 15 |
Page 16 |
Page 17 |
Page 18 |
Page 19 |
Page 20 |
Page 21 |
Page 22 |
Page 23 |
Page 24 |
Page 25 |
Page 26 |
Page 27 |
Page 28 |
Page 29 |
Page 30 |
Page 31 |
Page 32 |
Page 33 |
Page 34 |
Page 35 |
Page 36 |
Page 37 |
Page 38 |
Page 39 |
Page 40 |
Page 41 |
Page 42 |
Page 43 |
Page 44 |
Page 45 |
Page 46 |
Page 47 |
Page 48 |
Page 49 |
Page 50 |
Page 51 |
Page 52 |
Page 53 |
Page 54 |
Page 55 |
Page 56 |
Page 57 |
Page 58 |
Page 59 |
Page 60 |
Page 61 |
Page 62 |
Page 63 |
Page 64 |
Page 65 |
Page 66 |
Page 67 |
Page 68 |
Page 69 |
Page 70 |
Page 71 |
Page 72 |
Page 73 |
Page 74 |
Page 75 |
Page 76 |
Page 77 |
Page 78 |
Page 79 |
Page 80 |
Page 81 |
Page 82 |
Page 83 |
Page 84 |
Page 85 |
Page 86 |
Page 87 |
Page 88 |
Page 89 |
Page 90 |
Page 91 |
Page 92 |
Page 93 |
Page 94 |
Page 95 |
Page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