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방지 생기 있는 피부를 위한 당화(Glycation) 반응 억제 Franziska Wandrey, Christine Meier, Daniel Schmid, Fred Zülli – Mibelle Biochemistry, Switzerland
전 세계 스킨 케어 매출의 반 이상은 아시아에서 발생한다. 중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일본 및 홍콩과 같은 포화 상태의 시장도 매해 성장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의 전체 매출에 기여한다.
뷰티 및 개인 미용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도네시아와 같은 신흥 시장도 매우 역동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이 지역의 스킨 케어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1
얼굴 피부관리가 전체 스킨 케어 매출의 87% 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분야이다. Euromonitor
데이터에 따르면 아시아 고객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으며 보습, 세럼, 자외선 차단을 포함하여 엄격한 뷰티 케어를 따른다. 카테고리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소비자 인식이 “사후 관리”에서 “사전 관리”로 바뀌면서 노화 방지 제품이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매년 출시되는 모든
스킨 케어 제품의 약 20%가 노화 방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특히 2017년부터 2020년에 출시된 제품 중 “콜라겐 촉진” 효능을 가진 제품이 증가했다.
지난 수십 년간 식습관 변화로 인한 다양한 영향 중에서도 피부 콜라겐의 무결성이 위협받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이 2배로 증가하였으며 지금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2 WHO에 따르면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최근 당뇨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전 세계가 산업화되면서 당 섭취 증가와 일반적으로 건강에 해로운 라이프스타일에 있다.
고혈압과 같은 심각한 임상적 영향 외에도 당뇨병 또한 노화 가시갯대추나무(Ziziphus spina-christi). Ziziphus spina-christi.
피부에 영향을 미친다. 당뇨병 환자의 피부 변수는 탄력 손실, 건조한 피부, 미세 순환 감소, 황색 피부 톤과 같이
조기 노화된 피부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근본적인 원인은 혈류의 유리당 분자( free sugar molecules) 로 인해 발생하는 당화 반응(Glycation)이라는 과정에 기인한다. 세포로 당 흡수가 원활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치가 특히 높다. 일반적인 노화 과정에서도 피부 조직에 당화 반응이 일어나며, 자외선 조사로 악화된다.
당화 반응 과정에서 단백질의 유리 아미노기 및 포도당과 같은 환원당이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 이 비효소 프로세스는 음식을 볶거나 빵을 굽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전형적인 갈변 과정(typical browning)을 발생시킨다. 사람의 체온은 훨씬 낮기
Ageing Increased consumption of sugar UV
당 섭취 증가 자외선
Reducing sugar (e.g glucose)
환원당 (예: 포도당) Glycation reaction당화 반응 Protein 단백질 Oxidised lipids 산화 지질 RAGE AGE
감소 단백질 기능 조직 손상 ROS
Accumulation of AGEs Reduced protein function Tissue damage ROS
초록
고령화 사회에서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 발병률이 증가하면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당분이 많은 식단과 관련된 비만으로 인해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한다. 피부에 유리당 분자가
많아지면서 당화 반응을 초래하며, 이 과정에서 단백질과 당이 교차 결합하여 최종당산화물
(AGE)이 형성된다. AGE 형성은 교차 결합한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를 경직시켜 피부
탄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AGE의 옐로우-브라운 색소로 인해 피부 톤이 더욱 노란색에 가까워진다. 이뿐 아니라 AGE는
끊임없는 염증 반응을 일으키며 피부 내 높은 당도로 인한 노화 효과를 더욱 악화시킨다. 여기서
우리는 Ziziphus spina-christi 잎 추출물을 활용하여 AGE의 형성을 억제하고 피부 내 당화
반응의 하부 단계 효과를 완화하는 다양한 테스트 방법을 활용한 화장품 접근법을 제공한다.
Franziska Wandrey, Christine Meier, Daniel Schmid, Fred Zülli – Mibelle Biochemistry, Switzerland
79 1
때문에 당화 반응도 느리게 일어나지만, 수년에 걸쳐 미친 영향은 피부에뚜렷하게 나타나며, 단백질과 당이
반응한 최종 산물로 최종당산화물(AGE,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이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산화 지질로 인해 단백질과 교차 결합하여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교차 결합은 정상적인 탄성 섬유를 경직시키고 피부의 탄력을 떨어뜨린다.
당화 반응의 초기 산물은 반응성이 높고, 산화 및 단편화되기 쉽기 때문에, 당화 반응 수준이 높을 경우 피부 내 콜라겐 단편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조각들은
다른 단백질과도 반응하여 AGE 형성을 가속할 수 있다. 당화 반응으로 형성된 AGE는 정상적인 단백질 활동과 세포 기능을 방해만 하지 않는다. AGE는 피부 세포를
NF-kappaB activation
활성화 그림 1: 피부에 미치는 AGE의 영향을 보여주는 도식.
www.personalcaremagazine.com Figure 1: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effects of AGEs in the skin.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
비롯한 다양한 세포 유형의 표면에 존재하는 AGE 수용체(RAGE)와 결합한다. 이러한 AGE와 RAGE의 결합은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3 또한 AGE는 RAGE 상향조절을 야기하는 프리 라디칼(활성산소)을 형성한다. 그 결과 만성 염증과 피부 손상의 악순환이 발생한다(그림 1). 당화 반응 증가의 또 다른 특징으로 AGE의 옐로우-브라운 색소로 인해 피부가 황색 톤으로 변하기 때문에 피부 내 AGE 형성을 제어하는 것이
June 2021 June 2021 PERSONAL CARE
Page 1 |
Page 2 |
Page 3 |
Page 4 |
Page 5 |
Page 6 |
Page 7 |
Page 8 |
Page 9 |
Page 10 |
Page 11 |
Page 12 |
Page 13 |
Page 14 |
Page 15 |
Page 16 |
Page 17 |
Page 18 |
Page 19 |
Page 20 |
Page 21 |
Page 22 |
Page 23 |
Page 24 |
Page 25 |
Page 26 |
Page 27 |
Page 28 |
Page 29 |
Page 30 |
Page 31 |
Page 32 |
Page 33 |
Page 34 |
Page 35 |
Page 36 |
Page 37 |
Page 38 |
Page 39 |
Page 40 |
Page 41 |
Page 42 |
Page 43 |
Page 44 |
Page 45 |
Page 46 |
Page 47 |
Page 48 |
Page 49 |
Page 50 |
Page 51 |
Page 52 |
Page 53 |
Page 54 |
Page 55 |
Page 56 |
Page 57 |
Page 58 |
Page 59 |
Page 60 |
Page 61 |
Page 62 |
Page 63 |
Page 64 |
Page 65 |
Page 66 |
Page 67 |
Page 68 |
Page 69 |
Page 70 |
Page 71 |
Page 72 |
Page 73 |
Page 74 |
Page 75 |
Page 76 |
Page 77 |
Page 78 |
Page 79 |
Page 80 |
Page 81 |
Page 82 |
Page 83 |
Page 84 |
Page 85 |
Page 86 |
Page 87 |
Page 88 |
Page 89 |
Page 90 |
Page 91 |
Page 92